본문 바로가기
Web/HTML

HTML 구조 / !DOCTYPE, html, head, meta, title, body

by 키튼햄 2023. 6. 6.

HTML(Hyper Text Markup Language)

 : 태그(Tag)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포함한 웹문서를 구조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언어

 

  • 태그를 사용하여 웹문서(웹에서 사용되는 문서 - HTML 파일) 작성
  • 태그는 대소문자 미구분
  • 시작태그와 종료태그가 하나의 짝으로 구성 (HTML 태그에는 독립태그 존재)
  • 시작태그와 종료태그 사이에 하위태그 또는 태그내용 표현
  • 시작태그에는 속성과 속성값을 사용하여 태그를 다양하게 표현 가능

 

[구조]

<!DOCTYPE html>

<html>

<head>

<meta charset="UTF-8">

<title>Insert title here</title>

</head>

<body>

 

</body>

</html>

 

!DOCTYPE : 웹문서의 종류 및 버전을 표현 -- HTML5를 사용하여 작성된 웹문서

 

html 태그 : HTML 문서를 작성하기 위해 사용하는 최상위 태그(root tag)

    ⇒ 하위태그 : head, body

 

head 태그 : HTML 문서에 대한 정보를 제공하기 위한 태그

    ⇒ 하위태그 : meta, title, style, script, link 등

 

meta 태그 : HTML 문서에 대한 부가적인 정보(Meta Data)를 태그 속성과 속성값으로 제공하는 태그

 

charset 속성 : HTML 문서의 문자형태(CharacterSet - Encoding)를 속성값으로 설정

  • 브라우저가 HTML 문서를 해석하여 실행하기 위한 문자의 인코딩 방식을 제공
  • 기본 속성값 : ISO-8859-1(서유럽어)
  • 한글 관련 캐릭터셋 : euc-kr(완성형), utf-8(조합형)

 

title 태그 : HTML 문서의 제목을 설정하기 위한 태그

<title>HTML</title>

 

 

body 태그 : 웹문서의 내용(Content)을 출력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하기 위한 태그 --- Document

 ⇒ 하위태그 : header(머릿부), navi(메뉴), section(몸체부), article(본문), aside(보조문), footer(꼬릿부), h1, p, img, form 등

  • body 태그의 하위태그를 박스모델(Box Model) 태그로 표현할 수 있으며 블럭 레벨 태그와 인라인 레벨 태그로 구분
  • 인라인 레벨 태그의 하위태그로 블럭 레벨 태그 사용은 불가능하다. (그 반대는 가능)

블럭 레벨 태그(Block Level Tag) : 하나의 태그가 전체 라인(Line)을 모두 사용하는 태그

    ⇒ div, h1, p, ol, ul 등

인라인 레벨 태그(InLine Level Tag) : 하나의 태그가 라인(Line)의 일부분만 사용하는 태그

    ⇒ span, img, input, select 등